music

차이코프스키 국제 콩쿠르 역대 1위 수상자

flipside 2023. 5. 26. 11:59

2007/06/20 20:24

 

임동혁이 제13회 차이코프스키 국제 콩쿠르(International Tchaikovsky Competition)의 피아노 부문 준결승에 올라갔다는 이야기를 듣고 (제가 즐겨 올리는 날로 먹는 포스트 중에 하나인) 역대 1위 수상자 정리를 해봤습니다.


차이코프스키 국제 콩쿠르는 1958년 시작되어 매 45년 마다 열리고 있고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성악(여/남) 이렇게 5개 부문 시상을 합니다. 처음에는 피아노와 바이올린 부분만 심사 대상이었는데 제2회부터 첼로가 추가, 제3회부터 성악부문이 추가되었습니다.(일본어판 위키를 보면 1990년부터는 바이올린 악기 제작자 부문이 신설되었다고 하는데 다른 문헌 크로스체크는 안해봤습니다.) 이번 제13회 콩쿠르는 원래 2006년 개최가 되었어야 했지만 콩쿠르가 열리는 모스크바 음악원 홀의 수리와 기타 등등의 이유로 한해 연기되었다고 하네요.


아래는 1등 수상자 리스트를 뽑으면서 - 1등 지상주의는 아닌데 전체 리스트는 너무 많아서 포기했습니다. 죄송 ㅠㅠ - 정리해 본 국적 리스트입니다. 참고로 대한민국 수상자는 제9회 성악 남자 부문의 바리톤 최현수입니다~ 


 1등 수상자 국적  명수
 러시아  37
 미국  5
 영국  3
 일본  3
 그루지아  2
 프랑스  2
 대한민국, 브라질, 이탈리아, 중국  1
 

 



일러두기


- 
영어판 위키 일본어판 위키로 크로스체크를 하긴 했지만 기본은 공식사이트의 수상자 리스트입니다. 
- 수상자의 이름 표기는 기본적인 외래어 표기법을 따랐습니다. 또한 각종 게시판, 웹페이지, 뉴스에서 사용되는 표기도 참조했고 많은 부분 관용이나 널리 사용되는 표기를 따랐습니다. 예를 들어 왜 기돈 크리머나 기돈 크레메르가 아니라 기돈 크레머로 했는지 묻지 말아 주세요 ㅠㅠ
- 국적의 경우 소련과 러시아를 그냥 러시아로 통일했습니다.


  피아노
제1회 (1958) Van Cliburn  반 클라이번 미국
제2회 (1962) Vladimir Ashkenazy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러시아
John Ogdon 존 오그돈 영국
제3회 (1966) Grigory Sokolov  그리고리 소콜로프  러시아
제4회 (1970) Vladimir Krainev 블라디미르 크라이네프 러시아
John Lill  존 릴 영국
제5회 (1974) Andrei Gavrilov  안드레이 가브릴로프 러시아
제6회 (1978) Mikhail Pletnev  미하일 플레트녜프 러시아
제7회 (1982) 우승자 없음    
제8회 (1986) Barry Douglas  베리 더글러스 영국
제9회 (1990) Boris Berezovsky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러시아
제10회 (1994) 우승자 없음    
제11회 (1998) Denis Matsuev  데니스 마추예프 러시아
제12회 (2002) Ayako Uehara  아야코 우에하라 일본
  바이올린
제1회 (1958) Valery Klimov  발레리 클리모프 러시아
제2회 (1962) Boris Gutnikov 보리스 구트니코프 러시아
제3회 (1966) Viktor Tretiakov  빅토르 트레티아코프 러시아
제4회 (1970) Gidon Kremer  기돈 크레머 러시아
제5회 (1974) 우승자 없음
제6회 (1978) Elmar Oliveira 엘마 올리베이라  미국
Ilya Grubert  일랴 그루베르트  러시아
제7회 (1982) Viktoria Mullova 빅토리아 뮬로바 러시아
Sergei Stadler 세르게이 스타틀레르 러시아
제8회 (1986) Raphaël Oleg 라파엘 올레크 프랑스
Ilya Kaler  일랴 칼러 러시아
제9회 (1990) Akiko Suwanai  아키코 수와나이 일본
제10회 (1994) 우승자 없음
제11회 (1998) Nikolay Sachenko  니콜라이 사첸코 러시아
제12회 (2002) 우승자 없음

 

  첼로
제1회 (1958) -    
제2회 (1962) Natalia Shakhovskaya  나탈리아 샤코브스카야 러시아
제3회 (1966) Karine Georgyan  카린 게오르갼 러시아
제4회 (1970) David Geringas  다비드 게링가스 러시아
제5회 (1974) Boris Pergamenshchikov  보리그 페라가멘쉬치코프 러시아
제6회 (1978) Nathaniel Rosen  너새니얼 로젠 미국
제7회 (1982) Antonio Meneses  안토니오 메네세스 브라질
제8회 (1986) Mario Brunello  마리오 브루넬로 이탈리아
Kirill Rodin  키릴 로딘 러시아
제9회 (1990) Gustav Rivinius  구스타프 리비니우스 프랑스
제10회 (1994) 우승자 없음    
제11회 (1998) Denis Shapovalov  데니스 샤프발로프 러시아
제12회 (2002) 우승자 없음    

 

  성악(여)
제1회 (1958) -    
제2회 (1962) -    
제3회 (1966) Jane Marsh  제인 마쉬 미국
제4회 (1970) Elena Obraztsova  엘레나 오브라스초바 러시아
Tamara Sinyavskaya  타마라 시냐프스카야  러시아
제5회 (1974) 우승자 없음    
제6회 (1978) Lyudmila Shemchuk  류드밀라 쉠추크 러시아
제7회 (1982) Lidiya Zabilyasta  리디야 자비야스스타 러시아
제8회 (1986) Natalia Erasova  나탈리아 에라소바 러시아
제9회 (1990) Deborah Voigt  드보라 보이트 미국
제10회 (1994) Hibra Gerzmawa * 히브라 게르즈마와 그루지아
Marina Lapina ** 마리나 라피나 러시아
제11회 (1998) Mieko Sato  미에코 사토 일본
제12회 (2002) Aitalina Afanasieva(Adamova) 아탈리나 아페나시예바 러시아
                                                                                * Grand Prize ** 1st Prize



  성악(남)
제1회 (1958) -    
제2회 (1962) -    
제3회 (1966) Vladimir Atlantov  블라디미르 아틀란토프 러시아
제4회 (1970) Evgeny Nesterenko  예프게니 네스테렌코  러시아
Nikolay Ogrenich  니콜라이 오그레니치 러시아
제5회 (1974) Ivan Ponomarenko  이반 포노마렌코 러시아
제6회 (1978) 우승자 없음    
제7회 (1982) Paata Burchchuladze  파타 부르쉬출라드제 러시아
제8회 (1986) Grigory Gritsyuk  그리고리 그리추크 러시아
Alexander Morozov  알렉산더 모로조프 러시아
제9회 (1990) Hans Choi  최현수 대한민국
제10회 (1994) Chen Ye Yuen  첸 유안 중국
제11회 (1998) Besik Gabitashvili  베시크 가비타시비리 그루지아
제12회 (2002) Mikhail Kazakov  미하일 카자코프 러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