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3/01 00:20
트루먼 카포티의 '인 콜드 블러드'
위 블로그를 갔다가 Truman Capote의 [인 콜드 블러드] 발간 소식을 읽었습니다. 예전에 [옥문도]의 책날개에 근간이라는 말이 있어 기대를 했는데 이제 나오나 보네요. ^^
그나저나 작가 Truman Capote 표기는 영화까지 나와서 그런지 정말 뒤죽 박죽이네요.. 잠깐 정리해 봅니다.
- [인 콜드 블러드]를 펴낼 시공사 : 카포티
- [씨네21] 영화정보 : 카포티
- [씨네21] 해외뉴스 : 카포테
- 엔키노 : 카포티
- 씨네서울 : 카포테
- 브리태니커백과사전 : 커포티
- 두산백과사전 : 커포티
- 동서문화백과사전 : 커포티
- 네이버 영화정보 : 카포트
- [필름2.0] 해외뉴스 : 카포트
- 연합뉴스 : 카포테 | 캐포티
- 스포츠한국 : 카포티
- 조선일보 : 캐포티
- 세계일보 : 카포트
- 국민일보 : 카포트
- 서울신문 : 카포트 | 커포티
- 문화일보 : 카포테
정리를 하면 ca와 te의 표기에 따라서 다음 9개 조합이 나옵니다. 뭐 다행이라고 해야할지 케포티, 케포테, 케포트는 없군요. 아래 표기에서 옆에 숫자는 Capote와 관련이 있는 결과가 나올경우만 셈한 구글 검색 결과수 입니다. 카포트나 커포트, 캐포테의 경우는 형태소분석을 하니 한단어로 많이 쓰인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네요.
카포티 | 62,300
카포테 | 43,100
카포트
커포티 | 672
커포테 |
커포트
캐포티 | 454
캐포테
캐포트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은 트루먼 커포티라고 표기하고 있는데 2002년 [외래어 표기 용례집]에도 예로 나와 있네요.(백과사전쪽은 [외래어 표기 용례집]을 따를 수 밖에 없었던 것으로 봅니다 ^^) 하지만 조금 이해가 안되는 것은 같은 용례집에 미국 갱두목 Alphonso Capone는 알폰소 커포네가 아니라 카포네로 나온다는 점입니다. 원래 커포네로 표기해야 하는데 워낙 알 카포네가 입에 익어서 관용을 인정해 카포네로 한 것인지, 아니면 커포티의 경우만 예외적으로 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네요. 또 te 발음의 경우도 Lucius Harwood Foote라는 미국 외교관의 이름을 푸테가 아니라 루셔스 하우드 푸트라고 표기하고 있는 것을 보면 Capote의 표기가 확실히 예외적으로 보이긴 합니다.
어쨌든 정리하자면, 출판사나 잡지는 뭐 나름대로 자기 회사에서 정한 내부 표기규칙을 따른다고 해도 신문/방송 등은 그래도 언론이라는 (이제는 좀 느슨하지만) 틀에 묶이는 편이니, 외래어 표기 용례를 따라서 트루먼 커포티로 표기했으면 좋겠군요. 그렇게만 통일해도 검색했을때 놓치는 자료가 많이 줄어들 것 같습니다. 정보가 있으면 뭐합니까.. 다른 표기로 꽁꽁 숨어있으면 소용이 없으니까요 ^^
□ 참고자료
- 외래어표기용례집
- 구글
- KI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