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line

[밑줄] 범인이 피해자에게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7가지 기술

flipside 2023. 5. 9. 20:31

2005/05/08 15:43

 

가빈 드 베커의 [범죄신호 : 모든 범죄에서 당신을 안전하게 지키는 법]는 "매일 총이 2만 정씩 거래되는" 미국에 적합한 책인것 같지만 전체적인 내용은 일반적인 범죄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유용하게 볼 수 있다. 다음은 범죄를 저지르려는 - 특히 폭력, 강간사건의 남성범인들이 - 피해자(여성)가 알아채지 못하도록 사용하는 방법과 그것에 대처하는 방안들이다. (내용은 요약)




01 한팀이 되도록 강요하기 : "우리"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우리 둘 다...", "우리는 한 팀이잖아...", "우리 이것을 어떻게 할까?...", "이제 우리는 해냈어..." 등
→ (다소 무례해 보일 수도 있지만) 동반자 개념을 분명하게 거절한다


02 매력과 친절 : 기만적인 미소(감정을 속이기 위해 사용하는 전형적인 속임수), 쓸데 없는 친절
→ 원하지 않는 접근은 단호하게 거절


03 자기 이야기를 지나치다 싶게 많이 하는 것 : 사람들은 자신이 진실을 말할 때 상대방이 자신을 의심하리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그 이야기에 세세한 설명을 덧붙일 필요를 느끼지 않지만 거짓말을 하는 경우에는 설령 자신이 말하는 것이 상대방에게는 믿을 만하게 들릴지라도, 자신에게는 믿을만하게 들리지 않기 때문에 계속해서 얘기를 늘어놓는 것이다
→ 의식적으로 그런 사실을 생각하기


04 역할 고정시키기 : 약간의 모욕, 비판적인 방식으로 상대를 몰아붙이기
→ 그런 말을 들은 적조차 없다는 듯이 침묵


05 고리대금 : 도움을 줌으로서 빚을 졌다는 느낌을 갖게 함
→ 두가지를 잊지 말 것! 나는 어떤 도움도 청하지 않았다는 점, 그가 나에게 접근했다는 점


06 요구하지도 않았는데 약속을 하는 것 : 다짐을 받으려 한 것도 아닌데 나서서 약속하는 사람들은 대개 미심쩍은 동기를 감추고 있는 경우가 많음
→ 왜 이사람이 나를 확신시키려고 하는지에 대해서 자문해 보기


07 '아니오'라는 말을 무시하기 : 거절하는 상대방의 의향을 무시하거나 가볍게 여겨 상대방을 조정하려고 함
→ "아니로"라는 말은 타협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표현이고 그 의사를 번복해서는 안됨. 그가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 물어보기.




[범죄신호 : 모든 범죄에서 당신을 안전하게 지키는 법] 중에서, 가빈 드 베커, 최정아 옮김, 황금가지,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