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line

[밑줄] 기만이라기 보다는 이중규칙이지

flipside 2023. 5. 16. 18:54

2009/02/02 23:16

 

  언제였던가, 다루미와 둘이서 빨간 신호등일 때 길을 건넜다.
  "너는 사막 한가운데에 신호등이 있어도 파란불이 켜질 때까지 기다릴 타입이라고 생각했는데."
  당당하게 신호를 무시하는 녀석을 내가 놀리자.
  "사막 한가운데에 신호등이 있다고 치자. 그렇다고 일부러 그쪽으로 가서 건너는 인간도 있냐?"
  하며 웃었다. 그러더니 진지한 표정으로 차 한 대 지나다니지 않는 건널목에서 예의 바르게 신호가 시키는 대로 따라야 할 필요는 없지만 빨간불일 때 건너는 데에는 두가지 규칙이 있다고 했다.
  "첫 번째는 절대로 차한테 피해를 주지 않을 것. 당연한 소리겠지만 빨간불에서 건너는 게 버릇이 되면 깜박하기 쉬우니까 규칙으로 정해두고 명심해야 돼. 신호등이 없는 장소에서 길을 건널 때 이상으로 차에 신경을 쓸 것. 멀리 있으니까 괜찮을 것 같아도 그쪽 처지에서는 파란불인데 전방에 사람이 건너가고 있으면 불쾌하겠지. 조심하느라고 속도를 떨어뜨렸기 때문에 원래 같으면 지나갈 수 있었던 신호에 걸릴지도 모르잖아."
  "또 하나는?"
  "아이들이 있을 때는 꼭 신호를 지켜야 한다는 것. 부모가 애써서 '빨간불에서는 서고 파란불에는 건너'하고 가르쳐 준 게 다 허사가 되잖아."
  "그건 기만 아니야?"
  "기만이라기 보다는 이중규칙이지. 아이들은 시야기 좁아. 비유가 아니라 실제로 어른만큼 넓은 범위를 보지 못하는 모양이야. 게다가 무언가에 정신을 빼앗기면 다른 일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해. 임기웅변할 수 있는 판단력도 아직 다 키우지 못했고. 그러니까 우선은 신호를 지키는 단순한 방법으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돼. 괜찮아, 이중규칙이라도. 사실은 어른들이 스스로 판단한 다음 신호를 무시하고 있다는 걸 간파할 수 있게 되면, 그때는 그 애들이 신호를 무시해도 괜찮은 거야. 그런 졸업시험에 통과하게 될 때까지는 아이들을 잘 속이고 싶어."
  물론 이 규칙은 다루미가 멋대로 만들어낸 작품이다. 다루미는 이런 식으로 어떤 일이든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을 내린다. 하지만 그 판단의 기저에는 언제나 사람에 대한 배려가 있었다.



"무언의 전화 저편" 중에서, [가타부츠], 사와무라 린, 김소영 옮김, 한즈미디어, 2007




작품집의 제목 "カタブツ"라고 검색하면 "고지식하고 융통성 없는 사람. 또는 착실하고 품행이 바른 사람."이라는 설명이 나옵니다. 밑줄 그은 다루미라는 등장인물과 쏙 어울리지요? 독특한 제목에 각 단편들의 제목도 줄거리를 짐작하게 하는 것들이 아니라서 어떨까 하는 궁금증이 일었지만, 작가가 일본 판타지 노벨대상 수상자라는 것을 알고 흠.. 잠깐 망설이면서 가장 짧은 단편부터 읽어봤는데 의외로 제 감성과 잘 맞아서 즐거운 마음으로 읽었습니다. 6편 모두 재미있었지만 가장 맘에 들었던 것은 위에 밑줄 그은 "무언의 전화 저편"이었어요. 올바르게 사는 다루미에게는 친구가 별로 없는 점을 궁금하게 여긴 주인공이 그 궁금증을 풀어가는 과정으로 미스터리적인 요소가 섞여 있는 작품이기도 한데 마지막에 진실이 밝혀지는 순간도 그렇고 재미있는 결말 처리도 그렇고 여러모로 마음에 쏙들었습니다. 다른 몇 몇 작품들도 궁금증을 불러일으긴 하지만 그렇다고 "이렇게 보여도 미스테리에요!"라고 소리높여 이야기하지 않기 때문에 독특한 일상(독특한 일상이라는 말이 좀 이상하지만 ^^)에 대한 기대감을 안고 읽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07년에 나왔는데 이후 사와무라 린 작품이 더 나오지 않고 있는 것을 보면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지 못한 것도 같은데 ㅜㅜ 아직 번역 대기중일거라고 생각해봅니다. :-)




p.s. 번역본과 원서표지. 첫번째 원서표지 묘하게 맘에 드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