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코패스 3

진단명 : 사이코패스 : 우리 주변에 숨어있는 이상인격자 | 로버트 D. 헤어

2006/06/25 23:06 [책을 읽고 나서] 처음 사이코패스 라는 말을 들은 것은 기시 유스케의 [검은 집](창해)에서 였다. 이 책에 나오는 사치코에 대해 설명하는 말로 사이코패스라는 말이 나오는데 자신이 하는 행동에 대해 죄의식이 없고 타인의 감정에 공감력이 부족한 사람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했다. 아직도 기억이 나는 부분 중 하나는 어린시절 사치코가 쓴 수필에 감정을 담았다고 할 만한 단어가 전혀 없었다는 점을 이야기 하는 대목인데 아직도 그 글을 생각하면 오싹한 느낌이 든다. 사이코패시 판정도구를 만든 이 분야의 권위자인 로버트 D. 헤어가 쓴 [진단명 : 사이코패스]는 공포소설의 주인공으로 나와서 우리를 무섭게 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우리 주변에 숨어있는 이상인격자"인 사이코패스에 대해..

book 2023.05.30

검은집 | 신태라

2007/06/23 15:08 아마 지금까지 읽었던 책 중에 가장 무서웠던 책은 뭐였냐고 물으신다면 잠깐 생각은 하겠지만 자연스럽게 기시 유스케의 [검은집]이라고 대답하겠습니다. 소설을 읽다보니 빠져들어서 마지막 부분이 되었을 때가 새벽 무렵이었는데 후반부 살벌한 장면묘사가 어찌나 무섭던지 덜덜덜... 했습니다. 그 책으로 사이코패스라는 말을 처음 들었고 이후 기시 유스케 작품을 찾아 읽게 되었지요. 그런 작품이 영화화 된다니 기쁜 마음으로 기다리고 있다가 달려가서 봤습니다. 소설을 읽은 사람과 읽지 않은 사람의 평가가 확실히 갈라질 것 같은 생각인데, 이유는 단 하나 원작의 사치코(영화에서는 신이화라는 배역명에 유선이 맡았습니다)와 영화 속 인물이 너무 달라서였습니다. ㅠㅠ 소설을 읽으면서 공포를 느꼈..

movie 2023.05.23

[밑줄] 조직에서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할 적신호

2008/05/11 02:20 다음에 제시하는 여러 상황들은 기업 세계에서 흔히 목격할 수 있는 현상으로서, 사이코패스적인 특성이 장기적으로 빚어내는 결과들이다. 다음의 어떤 한 결과가 조직에서 나타난다고 해서 반드시 사이코패스가 조직 내부에 있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훈련과 지도 과정에서 이런 사실들이 공표되고 그에 따른 대응책을 찾지 않는다면 정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정 직원과 관련해서 적어도 아래와 같은 현상이 포착되면 조직은 반드시 적신호를 울리고 내부 점검과 평가를 새로이 해야 한다. - 팀을 형성할 수 없다 - 어떤 것이든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나누지 못한다 - 사람들을 차별한다 - 진실을 말할 줄 모른다 - 겸손할 줄 모른다 - 비난을 받아들일 줄 모른다 - 예상 가능한 행동을 ..

underline 2023.05.15